전체 글 21

마그네슘 효능에 대해 알아봅시다.

마그네슘(Mg) 효능에 대해 알아봅시다. 마그네슘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미네랄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인체에서 300여 가지 이상의 효소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만큼 꼭 필요한 성분이기도 하죠. 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의 우리는 그 필요량만큼 챙기지 못하는게 대부분이고 그로인해 마그네슘 결핍 증상을 겪는 인구가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우리 몸에 들어있는 평균량은 약 25g정도이고 이 중 반 이상은 뼈에, 나머지는 연조직세포와 혈액 등의 체액에 들어있다 합니다. 이는 생활하면서 고갈되고 또 그만큼 필요한 양을 채워 순환시켜야 하는데 우리는 보통 마그네슘을 음식 섭취를 통해 얻죠. 특히 아몬드, 시큼치, 캐슈넛, 바나나 등은 마그네슘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식품입니다. 그러나 이마저도 생활속에서 충분한 양을 ..

한자 부수 해설(3획)-1

한자 부수 해설(3획)-1 1. 口(입 구) 扣(고)의 상성이고 苦(고)와 后(후)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사람이 말하거나 먹는 것'이다. 대략 입의 위, 아래 입술과 양쪽가를 위로 넓힌 모양을 본떴다. 사람의 언어, 음식을 전적으로 담당하는 기관의 이름이다. 육서로는 상형(象形)이다. 2. 囗(에울 위) 음은 위(圍)이고 羽(우)와 非(비)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에워쌈'이다. 돌려 두름, 곧 회전하여 돌려 합한 모양을 본떴다. 두루 돌려 다시 합한 뜻이다. 살펴보건대, 囗은 圍 글자의 옛글자(初文)다. 圍가 쓰이자 囗은 폐기되어 겨우 부수로만 쓴다. 또한 囗은 國(나라 국)과도 같다. 옛날에 國은 모두 囗으로 썼다. 육서로는 지사(指事)이다. 3. 土(흙 토) 吐(토)의 상성이고 他(타..

my지식창고 2020.11.27

한자 부수 해설(2획)-2

한자 부수 해설(2획)-2 13. 力(힘줄 력) 陵(릉)의 입성이고 離(리)와 弋(익)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힘줄'이다. 사람의 힘줄(筋)의 모양을 본떴다. 力은 筋을 말미암아 나오고 또 筋을 말미암아 드러난다. 육서로는 상형(象形)이다. 14. 勹(감쌀 포) 음은 苞(포)이고 布(포)와 交(교)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에워 쌈'이다. 사람이 몸을 구부린 모양을 본떠서 품속에 에워싸는 것이 있는 뜻이다. 그 속을 비워 다른 물건을 감쌈이다. 육서로는 지사(指事)이다. 15. 匕(친할 비, 견주어 설명할 비, 숟가락 비) 음은 比(비)이고 卑(비)와 履(리)의 반절(반절음)이다. 1. 의미는 '서로 함께 친밀히 차례지음'이다. 육서는 지사(指事)이다. 2. '서로 함께 견주어 설명함'이다...

my지식창고 2020.11.26

한자 부수 해설(2획)-1

한자 부수 해설(2획)-1 1. 二(둘 이) 음은 貳(이)이고 耳(이)와 肄(이)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땅의 수'이다. 一(橫)에 一(횡)이 붙은 것을 따랐다. 一과 一이 서로 짝하여 二가 되었다. 一으로 하늘을 가리켰으므로 하늘과 서로 마주하는 것을 가리켜 땅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二로 땅의 수를 삼았다. 二는 곧 최초의 짝수 이름이다. 육서로는 지사(指事)이다. 2. 亠(뜻 결여한 것 두, 머리 두) 음은 頭(두)이고 徒(도)와 구(鉤)의 반절(반절음)이다. 亢(목 항) 글자의 편방(偏旁, 글자의 자리)으로부터 취하였는데, 뜻은 결여되었다. 겨우 부수로만 쓰고 뜻이 없는 글자이다. 살펴보건대, 뜻을 頭(머리 두)라 하고 육서는 지사(指事)라 하니 또한 통한다. 3. 人(사람 인) 음은 仁(인..

my지식창고 2020.11.26

한자 부수 해설(1획)

한자 부수 해설(1획) 1. 一(하나 일) 음은 壹(일)이고 衣(의)와 悉(실)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숫자의 처음'을 나타낸다. 자형적 의미는 一(횡)을 가로 놓은 것을 따랐다. 곧 최초의 제일 위치의 숫자 이름이다. 애당초 태시에는 道가 하나에 확립되어 하늘과 땅을 만들어 나누고 모든 사물을 변화하여 이룩하였다. 육서로는 지사(指事)이다. 2. 丨(뚫을 곤/위 아래로 꿰뚫을 곤/ 통할 곤) 음은 袞(곤)이고 古(고)와 本(본)의 반절(반절음)이다. 의미는 '위와 아래로의 통함'이다. 곧바르게 선 것으로 위아래로 꿰뚫은 일을 가리킨다. 丨을 쓰기를, 이끌어 위로 간 것은 읽기를 囟(정수리 신)과 같이 하니 上(위상), 철(屮) 등이 그것이고, 이끌어 아래로 간 것은 읽기를 退(퇴)라 하니 下(아..

my지식창고 2020.11.25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1, 2, 3

몇년전에 이사를 하고 집에 유플러스 티비를 설치했는데 그 이후 몇달 지나 넷플릭스가 있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ㅎㅎ 처음에는 무료로 한달동안 볼 수 있다고 하길래 호기심에 신청을 했다가 해지하는 시점을 지나치는 바람에 그냥 뒀던 것을 계기로 벌써 3년째 요금내면서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 암튼 그때 우연히 처음 본 드라마가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1편이었어요. 처음에는 로맨틱 코미디인줄 알고 봤거든요. 아... 근데 이거 무슨 3류 영화인 줄요. 능청스럽게 조용히 시작을 하더니 거침없이 막 벗고 살짝 거북한 SM적인 장면도 적나라하게... 근데 결정적으로 내용이 너무 재미가 없었다는 게 순도 100프로의 팩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일단 주인공 소개부..

드라마n영화 2020.11.25

결혼식 축의금 액수 정하는 방법

벌써 연말입니다. 작년말, 코로나19가 갑작스레 발발하고부터 한해가 어떻게 갔는지도 모르겠는데 시간이 쏜살같다는 말을 실감하는 요즘입니다. 최근 날씨가 계속 오락가락이었는데 이제 정말 본격적으로 추워지기로 결심한듯 찬바람이 불더라구요. 건강관리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위에 언급한듯이 코로나19 덕분에 생활 곳곳에서 일어나는 경조사들을 자체적으로 많이 축소, 간소화 시키는 분위긴데요. 그래도 이런 건 살아가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생로병사, 희노애락에 관련한 일들이라 결코 예를 져버릴 수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동방예의지국이라고도 하나봅니다. 얼마전, 그러니까 올해 5월쯤 시댁 큰조카님이 결혼을 하기로 날을 잡고 계셨더랬죠. 한참전부터 말이 오갔던 일이고 이미 예약을 했던 거라 취소할 수는 ..

한자의 제자원리(六書)

- 상형문자(象形文字) : 한자가 만들어지는 원리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 상형(象形)이란 모양의 형태라는 뜻풀이처럼 사물의 모양을 있는 그대로 본뜬 것이고 상형문자란 본뜬 모양을 글자화 시킨 것을 말합니다. 예시) 日(날일) : 해의 모양을 본뜬 자 月(달월) : 달의 모양을 본뜬 자 火(불화) : 불의 모양, 모닥불이 타는 모습에서 비롯된 글자 水(물수) : 물이 흘러가는 모습에서 비롯된 글자 - 지사문자(指事文字) : 어떤 일을 '가리킨다'라는 뜻으로 특별한 형체가 없고 구체적인 모양으로 나타낼 수 없는 것들을 간단한 선이나 점 등의 기호로 나타내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시) 上(위상) : 기준 선 위에 점을 찍어 '위'라는 뜻을 나타냄 下(아래하) : 기준선 아래 점을 찍어 '아래'라는 뜻을 ..

my지식창고 2020.11.17

한자 부수(部首)

부수란, 7만 가까이 되는 한자를 한데 묶어 옥편을 만들 경우, 이들을 구성원리에 따라 분류하고 획의 순서에 따라 배열할 필요가 있었다. 이 분류된 집단을 '부(部)'라 하고 각 부의 글자들에서 공통이 되는 부분을 '수(首)'라 하여 이를 부수라고 불렀다. 즉, 한자의 근간이 되는 기본골격은 이 부수(部首)에 해당되고 한자는 부수와 부수의 결합체라 볼 수 있다. 독립적인 하나의 문자 다른 부수와 결합하여 새로운 문자를 구성하는 기능을 지닌, 일종의 한자의 알파벳 옥편에서 글자를 찾는 길잡이가 되는 글자의 한 부분

my지식창고 2020.11.17

장례식 부조금 액수 정하는 방법

사람이 나고 자라 병들고 죽는, 소위 생로병사에 대한 일이야 조금 시일을 늦출 수는 있어도 절대 인력으로는 막을 수 없는 일이죠. 주변에서는 하루에도 몇번씩 일어나는 일이고 분명 마주칠 수 밖에는 없는데 어찌된 게 늘상 함께 있던 이의 부재는 시간이 가도 늘 낯설게 느껴지는 건 저뿐만은 아닐거라 생각합니다. 눈을 뜨면 쏟아지는 수많은 정보들의 홍수 속에 좋은일도 있지만 반대로 알고 싶지 않은 비보를 하루가 멀다하고 듣게 되는 요즘이라 이제 검색어 순위에 누군가의 이름만 올라와도 마음이 먼저 덜컥 내려앉곤 하는데요. 이자리를 빌어 먼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고, 부디 이런 소식은 자주 듣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부조(扶祖)의 뜻부터 알아볼게요. 부조(扶祖)란, 도울 부(扶)와 도울 조(助)의 뜻으로..